목차
반응형
1. github <-> jenkins 연결 (github 설정)
깃허브에 들어가서 내 프로필을 눌러주면 메뉴가 뜬다. 여기서 [Settings]을 클릭한다.
제일아래 [Developer settings]를 클릭해 준다.
[Personal access tokens] 탭에서 [Token (classic)]를 눌러준 뒤 [Generate new token (classic)] 버튼을 눌러준다.
jenkins가 우리의 github repository에 접근할 수 있게 권한을 부여해 준다. 그 뒤 [Generate token] 버튼을 눌러주자.
토큰 발급 완료
2. github <-> jenkins 연결 (jenkins 설정)
젠킨스에 들어와서 [jenkins 관리] 탭에서 [Credentials]를 클릭해 준다.
[(global)]탭을 눌러준다.
[+ Add Credentials] 버튼을 눌러준다.
1. Username with password를 선택한다. (기본값)
2. Username에 github 아이디를 기입한다.
3. *Password에는 github에서 발급받은 token값을 기입한다. (1단계에서 발급받은 토큰값)
4. 사용할 ID를 입력한다.
5. 만들기 버튼을 눌러준다.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다.
3. 예정
jenkins에 pipeline을 작성하고 nginx에서 reverse proxy를 설정할 것이다.
반응형
'홈서버 구축 (미니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서버 구축(9) - nginx 설정하고 SSL 인증서로 HTTPS 받기 [마지막] (1) | 2025.07.12 |
---|---|
개인 서버 구축(7) - Jenkins 설치하고 설정하기 (0) | 2025.04.28 |
개인 서버 구축(6) - 도메인 설정해보기 (Gabia) (0) | 2025.04.28 |
개인 서버 구축(5) - DHCP 서버 설정 (iptime), 포트포워딩 설정 (0) | 2025.04.15 |
개인 서버 구축(4) - SSH 설정, wifi 설정 (1) | 2025.03.17 |
남건욱's 공부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