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프링 6

[Spring] 자주 사용하는 Annotation (개인적)

@RestController - 클래스 / 해당 클레스가 RESTFul 웹서비스 컨트롤러임을 나타냄. 스프링은 해당 클래스를 REST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로 간주하고, 메서드들이 HTTP요청을 받고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RequestMapping - 메서드, 클래스 / 요청 URL과 HTTP메서드의 매핑을 설정한다. 어떤 URL과 HTTP 메서드에 대한 해당 메서드가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정할때 사용된다. @Service - 클래스 / 해당 클래스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빈임을 나타낸다. 스프링이 해당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하여 의존성 주입을 수행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객체로 활용한다. @Validated - 메서드, 타입 / 메서드 인자들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6) - OAuth, 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예외처리관리

카카오 로그인 탄생배경 - 모든 웹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거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부담이 된다. 매번 번거로운 회원가입 과정을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웹사이트마다 다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억해야 한다. 또한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측에서도 역할이 부담이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Auth를 사용한 소셜 로그인이 등장하게 됐다. OAuth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입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게 모든 권한을 넘기지 않고 사용자 대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HTTP 기반의 보안 프로토콜이다. 카카오 로그인 사..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5) - Validation, Entity 관계

Validation Spring에서는 null 확인 뿐 아니라 문자의 길이 측정과 같은 다른 검증 과정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Bean Validation을 제공하고 있다. -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애너테이션을 제공해 준다. @NotNull - null 불가 @NotEmpty - null, "" 불가 @NotBlank - null, "", " " 불가 @Size - 문자 길이 측정 @Max - 최댓값 @Min - 최솟값 @Positive - 양수 @Negative - 음수 @Email - E-mail 형식 @Pattern - 정규 표현식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위 코드를 build.gra..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4) - 인증/인가, 쿠키/세션, 필터

Bean 수동등록 Bean 수동 등록은 어제 사용될까? 기술적인 문제나 공통적인 관심사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객체들을 수동으로 등록하는 것이 좋다. - @Component를 사용하면 @ComponentScan에 의해 자동으로 스캔되어 해당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해 준다. - 일반적으로 @Component를 사용하여 Bean을 자동등록으로 하는 것이 좋다. Bean 수동등록이 사용되는 경우 - 공통 로그처리와 같은 비즈니스 로직을 지원하기 위한 부가적이고 공통적인 기능들을 기술 지원 Bean이라 부르고 수동등록 한다. - 비즈니스 로직 Bean보다는 그 수가 적기 때문에 수동으로 등록하기 부담스럽지 않다. - 수동등록된 Bean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위치를 파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Con..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3) - 3 Layer Architecture, JPA

3 Layer Architecture - 한 개의 클래스에 너무 많은 양의 코드가 존재할때 이해하기가 어려울때 - 코드의 추가 혹은 변경 요청이 곗고 들어올때 - 문제가 발생했는데 해당 클래스를 구현한 개발자가 퇴사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울때 위와 같은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개발자들은 서버에서 처리과정이 대부분 비슷하다는 것을 깨닫고, 처리과정을 크게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총 3개로 분리하였다.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다. - 요청에 대한 로직 처리는 Service에게 전담한다. (Request 데이터가 있다면 함께 전달) - Service에서 처리 완료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Service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처리(비즈..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2) - 데이터의 전달방식과 SQL

Jackson Jackson은 JSON 데이터 구조를 처리해주는 라이브러리 - Spring은 3.0 버전 이후 Jackson과 관련된 API를 제공한다. - Object를 JSON타입의 String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 JSON 타입의 String을 Object로 변환이 가능하다. Path Vairable Client 즉,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HTTP 요청을 보낼 때 데이터를 함께 보낼 수 있다. - 서버는 데이터를 받아 사용해야 하는데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모든 방식에 대한 처리 방법을 학습해야 한다. - 데이터를 받기 위해서는 /star/{name}/age/{age} 이처럼 URL 경로에서 데이터를 받고자 하는 위치의 경로에 {data} 중괄호를 사용한..

프로필사진

남건욱's 공부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