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2

[Spring]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IoC) 이란 무엇일까?

1. DI와 IoChttps://ngwdeveloper.tistory.com/205 [Spring]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이란 무엇일까?spring을 사용해 개발을 하다보면 @Autowired나 생성자로 객체를 주입받아 쓴다. 너무나 당연하게 써왔었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졌다. "그냥 내가 만들어 쓰면 안되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의존ngwdeveloper.tistory.com 이전 글에서 DI가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는 기술임을 알게됐다. 이전 글 3.3 섹션에서 "객체의 생성과 관계 설정의 제어권이 개발자로부터 프레임워크로 넘어간 것을 제어의 역전(IoC)이라 부르며, DI는 이 IoC를 구현하는 핵심 방식이다."라고 말했었다.DI에 대해서는 이해했지만,..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3) - 3 Layer Architecture, JPA

3 Layer Architecture - 한 개의 클래스에 너무 많은 양의 코드가 존재할때 이해하기가 어려울때 - 코드의 추가 혹은 변경 요청이 곗고 들어올때 - 문제가 발생했는데 해당 클래스를 구현한 개발자가 퇴사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울때 위와 같은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 개발자들은 서버에서 처리과정이 대부분 비슷하다는 것을 깨닫고, 처리과정을 크게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총 3개로 분리하였다. Controll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는다. - 요청에 대한 로직 처리는 Service에게 전담한다. (Request 데이터가 있다면 함께 전달) - Service에서 처리 완료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Service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처리(비즈..

프로필사진

남건욱's 공부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