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BMS 4

[DataBase] 트랜잭션이란?

1. 트랜잭션의 개념트랜잭션이란 DB 시스템에서 한셋의 작업들을 수행하는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 이러한 작업들은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아무것도 수행되지 않는 두 가지 결과만을 가진다. 트랜잭션은 DB의 상태를 다른 일관된 상태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2. 트랜잭션의 특징원자성 (Atomicity)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실패했다면 아무것도 완료되지 않아야 한다. 중간 단계에서의 실패로부터 DB를 보호한다. 일관성 (Consistency)트랜잭션이 실행 전과 후에도 DB는 일관된 상태여야한다. 트랜잭션이 일부만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 고립성 (Isolation)여러 트랜잭셔닝 동시에 실행 중이더라도 각각의 트랜잭션은 다른 트랜잭션에서 수행 중인 작업에 대해 영향을 미..

[Spring Boot + Redis] Spring Boot에서 리프레시 토큰 사용하기(Redis)

Redis 설치하기 Redis 설치 방법 Redis NoSQL DB의 한 종류이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MYSQL, Orcal DB, PostgreSQL 등 RDBMS와 다르게 NoSQL DB이다. 그렇다면 무슨 차이이고 어느 상황에 사용해야 할까? RDBMS와 NoSQL의 차이 RDBMS (관계형 DB) - 데 ngwdeveloper.tistory.com Refresh Token의 목적 - Access Token의 유효기간을 짧고, 자주 재발급하도록 만들어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잦은 로그아웃 경험을 주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Access Token은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토큰이라면, Refresh Token은 기존에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던 Access Token이 만..

[Redis] Redis 설치 방법

Redis NoSQL DB의 한 종류이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MYSQL, Orcal DB, PostgreSQL 등 RDBMS와 다르게 NoSQL DB이다. 그렇다면 무슨 차이이고 어느 상황에 사용해야 할까? RDBMS와 NoSQL의 차이 RDBMS (관계형 DB) - 데이터 : 정해진 구조를 갖는 테이블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테이블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 확장 : 주로 수직정 확장을 사용하며, DB 서버 자체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강력한 하드웨어로 대체 - 스키마 : 고정된 스키마를 사용, 데이터의 구조를 사전에 정의해야 한다. - 데이터 복잡성 : 복잡한 관계를 가질 수 있고, JOIN 연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결합한다. - 활용 : 정형화된 데이터와 각 데이터 간의 관계가 중요한 업무에서 주로..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2) - 데이터의 전달방식과 SQL

Jackson Jackson은 JSON 데이터 구조를 처리해주는 라이브러리 - Spring은 3.0 버전 이후 Jackson과 관련된 API를 제공한다. - Object를 JSON타입의 String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 JSON 타입의 String을 Object로 변환이 가능하다. Path Vairable Client 즉,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HTTP 요청을 보낼 때 데이터를 함께 보낼 수 있다. - 서버는 데이터를 받아 사용해야 하는데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모든 방식에 대한 처리 방법을 학습해야 한다. - 데이터를 받기 위해서는 /star/{name}/age/{age} 이처럼 URL 경로에서 데이터를 받고자 하는 위치의 경로에 {data} 중괄호를 사용한..

프로필사진

남건욱's 공부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