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pring 3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6) - OAuth, 단위테스트, 통합테스트, 예외처리관리

카카오 로그인 탄생배경 - 모든 웹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거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부담이 된다. 매번 번거로운 회원가입 과정을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웹사이트마다 다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억해야 한다. 또한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측에서도 역할이 부담이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Auth를 사용한 소셜 로그인이 등장하게 됐다. OAuth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입니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게 모든 권한을 넘기지 않고 사용자 대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HTTP 기반의 보안 프로토콜이다. 카카오 로그인 사..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5) - Validation, Entity 관계

Validation Spring에서는 null 확인 뿐 아니라 문자의 길이 측정과 같은 다른 검증 과정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Bean Validation을 제공하고 있다. -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애너테이션을 제공해 준다. @NotNull - null 불가 @NotEmpty - null, "" 불가 @NotBlank - null, "", " " 불가 @Size - 문자 길이 측정 @Max - 최댓값 @Min - 최솟값 @Positive - 양수 @Negative - 음수 @Email - E-mail 형식 @Pattern - 정규 표현식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위 코드를 build.gra..

[Spring] 스파르타코딩클럽 Spring공부(4) - 인증/인가, 쿠키/세션, 필터

Bean 수동등록 Bean 수동 등록은 어제 사용될까? 기술적인 문제나 공통적인 관심사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객체들을 수동으로 등록하는 것이 좋다. - @Component를 사용하면 @ComponentScan에 의해 자동으로 스캔되어 해당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해 준다. - 일반적으로 @Component를 사용하여 Bean을 자동등록으로 하는 것이 좋다. Bean 수동등록이 사용되는 경우 - 공통 로그처리와 같은 비즈니스 로직을 지원하기 위한 부가적이고 공통적인 기능들을 기술 지원 Bean이라 부르고 수동등록 한다. - 비즈니스 로직 Bean보다는 그 수가 적기 때문에 수동으로 등록하기 부담스럽지 않다. - 수동등록된 Bean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당 위치를 파악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Con..

프로필사진

남건욱's 공부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