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필요한 부품 연결
2. 내부 설정
3. 예정
1. 필요한 부품 연결

필요한 것들을 연결해 주자
나는 부팅파일이 들어있는 USB, 전원,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필요 없었음)를 연결해 줬다.
나는 현 상황에서는 랜선을 연결하지 않고 진행했다.
2. 내부 설정

2-1. 한국어라는 선택지는 당연히 없었다. English를 선택하고 넘어간다.

2-2. 키보드 레이아웃 선택이다. 여기도 그냥 기본값인 English (US)로 지정하고 넘어간다.

2-3. 나는 기본값을 선택하고 넘어갔다. 그 아래 있는 Ubuntu Server (minimzed)를 선택하면 기본적인 패키지조차 직접 설치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그냥 기본값을 택했다. 3번째에 있는 Search for third-party drivers는 그냥 넘어가자.
만약 Ubuntu Server (minimized)를 선택하려면 키보드로 조절을 한 뒤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체크박스에 체크가 된다.

2-4.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화면이다. 인터넷 연결을 잘 잡아줬다면 넘어가자.

2-5. 프록시 설정화면이다. 필요한 사람은 설정해 주면 된다.

2-6. 그다음 mirror 주소를 설정하는 곳이다. 기존에는 http://archive.ubuntu.com/ubuntu 이런 식으로 되어있을 것이다. 이 기본값은 속도가 상당히 느리다. 그래서 http://mirror.kakao.com/ubuntu 로 변경해서 입력해 주고 넘어간다.
<비교>


생각보다 많이 차이난다. 꼭 바꿔주자.

2-7. 이제 이 화면까지는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은 채 넘어가면 된다. 만약 기존에 미니 pc에 윈도가 깔려있다면 날아가는 게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멀티부팅을 할 사람이라면 미리 파티션을 분할해서 선택하면 된다. 나는 기존의 파티션에 덮어씌울 예정이기 때문에 기본값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넘어갔다.

2-8. 이름과 서버명,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을 입력해 주고 넘어간다.

2-9. Pro모드를 할지 안 할지 선택하라는 화면이 나온다. 나는 그냥 넘어갔다.

2-10. ssh 설정페이지다. 내부에서 설정할 예정이기 때문에 일단 기본값으로 선택하고 넘어간다.

2-11. 이제 설치를 하는 과정이 나온다. Reboot Now를 눌러주자.

2-12. 이 화면이 나올 수도 있고 안 나올 수도 있다. 나왔다면 부팅파일이 들어있는 USB를 뽑아주자. 그 뒤 엔터를 누르면 된다.

2-13. 설치 중..

2-14. 나는 중간에 우분투 버전을 다운했다. 최신버전을 쓰려다가 익숙한 걸 쓰려고 수정했다. 이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해 준다.

2-15. 완료!
3. 예정
이제 설치는 완료됐으니 필요한 세팅을 해볼 것이다. (ssh 연결, 공유기 설정)
'홈서버 구축 (미니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 서버 구축(4) - SSH 설정, wifi 설정 (1) | 2025.03.17 |
---|---|
개인 서버 구축(2) - USB를 사용해 우분투 설치하기 (1/2) (1) | 2025.02.14 |
개인 서버 구축(1) - SSD, RAM 장착하기 (0) | 2025.02.12 |
남건욱's 공부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