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을 사용해 개발을 하다보면 @Autowired나 생성자로 객체를 주입받아 쓴다. 너무나 당연하게 써왔었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졌다. "그냥 내가 만들어 쓰면 안되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의존성 주입이 왜 스프링의 핵심 개념인지 비유를 통해 이해해보자. 1. 스프링의 핵심중 하나인 DI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는 것은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의 개념 위에서 개발한다는 것과 같다. DI는 스프링의 3대 핵심 프로그래밍 모델 중 하나이며, 현대적인 객체지향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 기술이다.많은 개발자가 DI를 단순히 어노테이션(@Autowired)을 통해 객체를 받아오는 기술 정도로 이해하지만, DI의 본질은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을 극대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