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4

개인 서버 구축(8) - jenkins <-> github 연동하기

1. github jenkins 연결 (github 설정)깃허브에 들어가서 내 프로필을 눌러주면 메뉴가 뜬다. 여기서 [Settings]을 클릭한다. 제일아래 [Developer settings]를 클릭해 준다. [Personal access tokens] 탭에서 [Token (classic)]를 눌러준 뒤 [Generate new token (classic)] 버튼을 눌러준다. jenkins가 우리의 github repository에 접근할 수 있게 권한을 부여해 준다. 그 뒤 [Generate token] 버튼을 눌러주자. 토큰 발급 완료 2. github jenkins 연결 (jenkins 설정)젠킨스에 들어와서 [jenkins 관리] 탭에서 [Credentials]를 클릭해 준다. ..

[Docker + Jenkins] Docker에 Jenkins 설치하고 사용하기

1. 개발환경Docker 25.0.2Ubuntu 20.04.6 2. Jenkins 설치, 실행docker image pull jenkins/jenkins:jdk17 우분투에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서 젠킨스를 설치한다. jdk버전은 본인의 프로젝트에 맞게 설치하면 된다. 2-1. Jenkins 실행vim docker-compose.yml위 명령을 사용해서 docker-compose.yml을 텍스트 에디터로 실행해 준다. 다음과 같이 설정해 준다.기본포트는 8080이며 다른 포트와 겹칠 가능성이 있어서 8180으로 포트포워딩 해줬다. docker-compose up -d그 뒤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 docker-compose를 실행해 준다. 정상적으로 구동 중인 모습 3. Jenkins ..

[Linux] ngrok 설치하기

ngrok 설정Ngrok은 로컬 개발 환경에서 인터넷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보안 연결을 통해 인터넷에서 서버를 실행할 수 있으며, 웹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도 테스트할 수 있다. * 이번에 사용하는 이유는 webhook을 사용해 테스트할 때 localhost, 127.0.0.1 같은 루프백 아이피를 사용할 수 없다. 때문에 Ngrok을 통해 테스트해 준다. wget https://bin.equinox.io/c/bNyj1mQVY4c/ngrok-v3-stable-linux-amd64.zip다음 명령어로 우분투에서 ngrok을 다운로드하여준다. unzip ngrok-v3-stable-linux-amd64.zip다음 명령어로 압축을 풀어준다..

프로필사진

남건욱's 공부기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