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메모 & 오류해결/Spring Boot 21

[Spring Boot + AWS] Spring Boot + S3를 활용한 이미지 업로드 하기 (프로필 사진)

1. AWS S3 생성 1-1 버킷 생성 AWS 사이트에 들어가 로그인을 해준 후 S3탭에 들어가서 [버킷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설정은 위의 설정만 똑같이 해주고 다른 설정은 건들 필요 없이 [버킷 만들기] 버튼을 눌러준다. 1-2 버킷 생성 확인 위와 같이 버킷이 생성이 되었다면 [다음]으로 넘어간다. 2. IAM 설정 2-1 사용자 생성 IAM을 검색해서 들어간후 [사용자 생성] 버튼을 누른다. 사용할 이름만 작성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다음 버튼을 누르면 이 화면이 뜬다. 세 번째 직접 정책 연결 버튼을 누른 뒤, 검색 창에 s3 full을 쳐서 AmazonS3 FullAccess 버튼을 체크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사용자 생성]을 눌러 주면 된다. 2-2 액세스키, 시크릿키 저장 2-..

[SSE] 알림기능에 SSE (Sever-Sent Events)를 사용한 이유?

개요프로젝트에서 SSE를 사용해 실시간 알림 기능을 구현하였다. 가볍게 스쳐 지나갔지만 다시 보니 조금 더 공부해보고 싶어서 찾아봤다. SSE의 장단점, WebSocket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SSE를 사용이 적합했던 이유를 작성. 1. SSE서버로부터 보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받을 수 있는, 단방향 메시지를 지원하기 위한 웹 기술이다.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 주며, 클라이언트는 이를 수신하여 웹 페이지의 동적 업데이트나 실시간 정보 표시에 활용할 수 있다. 이벤트 스트림(Event Stream) 형태로 데이터를 보내므로, 연결이 한 번 만들어진 후 서버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1.1 SSE..

[Spring Boot + Redis] Spring Boot에서 리프레시 토큰 사용하기(Redis)

Redis 설치하기 Redis 설치 방법 Redis NoSQL DB의 한 종류이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MYSQL, Orcal DB, PostgreSQL 등 RDBMS와 다르게 NoSQL DB이다. 그렇다면 무슨 차이이고 어느 상황에 사용해야 할까? RDBMS와 NoSQL의 차이 RDBMS (관계형 DB) - 데 ngwdeveloper.tistory.com Refresh Token의 목적 - Access Token의 유효기간을 짧고, 자주 재발급하도록 만들어 보안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잦은 로그아웃 경험을 주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Access Token은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토큰이라면, Refresh Token은 기존에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던 Access Token이 만..

[Spring Boot + OAUTH2.0] Spring Boot 소셜로그인(네이버) 구현법(Oauth2.0)

Oauth2.0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 이 프로토콜은 보안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해서 회원가입을 해야 하나? 할 때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을 사용해서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소셜로그인을 위한 준비가 안되었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설정한 뒤 본 게시글을 따라 해야 한다. 네이버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 네이버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Spring + Oauth2.0) 1. 네이버 앱 등록 https://developers.naver.com/apps/#/register 애플리케이션 - NAVER Developers devel..

[Spring Boot + OAUTH2.0] Spring Boot 소셜로그인(구글) 구현법(Oauth2.0)

Oauth2.0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 이 프로토콜은 보안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해서 회원가입을 해야 하나? 할 때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을 사용해서 이용할 수 있다. 구글소셜로그인을 위한 준비가 안되었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설정한 뒤 본 게시글을 따라 해야 한다. 구글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 구글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Spring + Oauth2.0) 1. 구글 API 콘솔 들어가기 https://console.cloud.google.com/projectselector2/apis/credentials/consen..

[Spring Boot + OAUTH2.0] Spring Boot 소셜로그인(카카오) 구현법(Oauth2.0)

oauth2.0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 이 프로토콜은 보안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해서 회원가입을 해야 하나? 할 때 간단하게 소셜 로그인을 사용해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 소셜로그인을 위한 준비가 안되었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설정한 뒤 본 게시글을 따라 해야 한다. 카카오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 카카오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Spring + Oauth2.0) 1. 카카오 개발자 사이트 들어가기 https://developers.kakao.com/console/app 카카오계정 accounts.kakao.com 위..

[Spring Boot + OAUTH2.0] 구글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Spring + Oauth2.0)

1. 구글 API 콘솔 들어가기 https://console.cloud.google.com/projectselector2/apis/credentials/consent?authuser=2&supportedpurview=project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 로그인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동 accounts.google.com 위 링크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2. 프로젝트 생성 상단의 프로젝트 선택을 눌러준다. 위 화면이 뜬다면 새 프로젝트를 클릭해 준다. 이 화면으로 이동할 텐데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해 주고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위 화면이 뜨면 외부를 선택하고 만들기 버튼을 눌러준다. 위와 같은 화면으로 넘어오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주고 저장 후 계속 버튼을 누른다. ..

[Spring Boot + OAUTH2.0] 네이버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Spring + Oauth2.0)

1. 네이버 앱 등록 https://developers.naver.com/apps/#/register 애플리케이션 - NAVER Developers developers.naver.com 위 링크에 들어가 준다. 위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2. 세부 설정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작성하고 사용 API에서는 네이버 로그인을 선택해 준다. 사용자의 정보중 필요한 정보를 체크해 준다. 나는 이메일, 별명만 가져오면 되기 때문에 두 개를 체크해 줬다. 로그인 오픈 API 서비스 환경탭에서 환경추가를 누르고 PC웹을 선택해 준다. 서비스 URL, 네이버로그인 Callback URL로 사용할 주소를 입력해 준다. 로컬에서 테스트할 것이기 때문에 localhost로 설정해 줬다. 그 뒤 등록하기를 눌러준다. 3. 테스트..

[Spring Boot + OAUTH2.0] 카카오 소셜로그인을 위한 설정(Spring + Oauth2.0)

1. 카카오 개발자 사이트 들어가기 https://developers.kakao.com/console/app 카카오계정 accounts.kakao.com 위 링크로 들어가 준다. 위와 같은 화면이 뜨면 된다. 2. 카카오 애플리케이션 추가 파란색버튼인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눌러주면 이와 같은 창이 뜰 것이다. 사용할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을 눌러준다. 추가가 되었다면 이렇게 목록에 추가가 됐을 것이다. 3. 플랫폼 등록 좌측 메뉴 중 내 애플리케이션 > 앱설정 > 플랫폼에 들어와 준다. 웹에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Web플랫폼 등록을 눌러준다.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본인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해 주면 된다. 우선 로컬환경에서 수행할 것이기 때문에 http://localhost:8080을 작성해..

프로필사진

남건욱's 공부기록

반응형